코인 현물 입출금 (Spot Inflow/OutFlow) 차트란?
거래소로 자금의 유입과 유출을 시각화한 차트로 단기 가격 예상 및 중장기 추세의 판단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온체인데이터 입니다.
차트를 분석하는 방법은 비트코인(BTC) 현물 입출금(Inflow/Outflow) 차트를 보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비트코인(BTC) 현물 입출금(Inflow/Outflow) 차트 링크
비트코인(BTC) 현물 입출금 (Spot Inflow/OutFlow) 차트 용어
- 녹색막대
- 거래소로 비트코인(BTC)가 입금되는 금액을 나타내며 녹색 막대가 클수록 입금된 규모가 크다는 의미
- 거래소로 비트코인(BTC)이 많이 입금 된다는 것은 앞으로 매도 압력이 높으며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고 해석
- 빨간색 막대
- 거래소에서 비트코인(BTC)가 출금되는 금액을 나타내며 빨간색 막대가 클수록 출근된 규모카 크다는 의미
- 거래소에서 비트코인(BTC)가 많이 추금 된다는 것은 장기 보관을 의미하므로 앞으로 가격의 상승 앞력이 높다고 해석
- 노란색 선 : 비트코인(BTC)의 가격
- 지금 보이는 차트는 모든 거래소의 입출금 내역의 합계입니다.
비트코인(BTC) 현물 입출금 (Spot Inflow/OutFlow) 차트 분석
최근에 녹색 막대가 높게 나온것으로 보아 거래소로 많은 양의 비트코인(BTC)이 입금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이것은 매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서, 단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을 합니다. 물론 거래소로 이동 되었다고 항상 바로 매도로 이어진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.

최근 차트를 확대했을 때 녹색 막대가 높게 나온 이후(파란색 체크) 비트코인(BTC) 가격이 단기가 하락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이번에는 좀 더 장기간의 데이터를 보도록 하겠습니다. (주봉 데이터)

녹색 막대가 한번씩 높게 나온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막내 가 짧아 보이지만 각 막대 별로 금액은 상당합니다.

1번은 310.46밀러언 달러로 4,497억원정도 입니다. 2번은 727백만 달러(1조528억원) 3번은 2조1,893원, 4번은 2조8,8660억원 정도의 규모입니다. (3,4번은 각각 2개의 막대 합산 금액)
단기적으로 봤을 땐 녹색 막대가 크게 만들어진 이후 단기 혹은 장기 하락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빨간색 막대가 더 많다는 것은 거래서에서 비트코인(BTC)을 출금하여 개인지갑 등에 보관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. 이것은 장기적으로 보관하려는 의도로 해석되며, 이것은 장기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.
항상 한가지 차트, 데이터를 가지고 모든 자산의 상승, 하락을 예상하는 것을 불가능하기 때문에 맹신하기 보다는 목적에 맞게 현물 입출금 (Spot Inflow/OutFlow) 차트를 분석하여 단기, 중장기적인 흐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
(작성 된 글은 개인 공부/기록용으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)